본문 바로가기

요리, 과학으로 보자!

후라이팬 종류와 비교 : 코팅팬 vs 스테인레스팬 vs 무쇠 팬[스텐팬·무쇠팬 예열과 라이덴프로스트 효과]

스테이크를 잘 굽기 위한 방법들에 대해 글 3개를 썼는데요,

아마 스테이크에 대한 마지막 글이 될 겁니다. 

가장 중요한 것이 하나 남았습니다.

네, 제목대로 후라이팬에 대한 내용이죠.

 

전 코팅팬만 쓰다보니 별 생각이 없었는데,

스테인레스 팬이나, 무쇠 팬을 쓰는 것을 보고 나서는

코팅 팬을 모두 버리고싶은 충동을 느꼈습니다...ㅋㅋㅋ

그정도로 차이가 크더라구요,

 

오늘의 명언

"요리는 장비빨"

 

네 일단 지금도 차이를 모르시는 분들이 많을 거예요.

하지만 그 확연한 차이는 유튜브 영상만 봐도 바로 알 수가 있는데요,

일단 중요한 요소 두 가지가 있습니다.

"열 전달율""열 보존율"

둘다 말 그대로 열이 전달되는 속도가 얼마나 빠른지와

그렇게 얻은 열을 보존하는 능력이 얼마나 좋냐를 봐야합니다.

그럼 세 가지 팬을 비교해볼까요?

 

코팅 팬

우선 우리가 가장 흔하게 쓰는 코팅 팬입니다.

코팅팬의 장점

가볍다

음식이 달라붙지 않는

 

코팅팬의 단점

열 전달율이 낮다

열 보존율이 낮다

내구성이 약하다

코팅이 벗겨질 시 인체에 유해하다.

 

스테인레스 팬

스테인레스 팬의 장점

열 전달율이 좋다.

열 보존율이 좋다.

내구성이 좋다.

 

스테인레스 팬의 단점

무게가 무겁다.

가격이 비싸다.

"방법을 모르면" 음식이 달라 붙을 수 있다.

 

무쇠 팬의 장점

열 보존율이 좋다.

내구성이 좋다.

 

무쇠 팬의 단점

무게가 무겁다.

관리가 어렵다.

 

스테인레스 vs 무쇠

관리 용이함 : 스테인레스 > 무쇠

  열 전달율 : 스테인레스 > 무쇠

  열 보존율 : 스테인레스 < 무쇠

      내구성 : 스테인레스 < 무쇠

 

관리 쉬운 무쇠 팬

저도 무쇠 팬을 사용하고 싶었지만

관리가 너무 어려워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었습니다.

근데 유튜브에서 "아미요"님을 통해 알게 된 

"무쎄 무쇠 팬"을 구매했습니다.

이 부분은 유튜브에 "아미요"님 영상이 있으니

자세히 다루지는 않겠습니다.

 

음식 눌러 붙지 않게 하는 법

그냥 방법만 말씀 드리겠습니다.

 기름+예열 

참고로 기름을 먼저 두르면

조금 산패할 수 있으니

예열 후 기름을 두르시는게 좋습니다.

 

Q. 언제까지 예열하나요?

팬에 물을 조금 넣었을 때,

증발하지 않고 공처럼 굴러다닌다면

충분히 예열이 된겁니다!!

이 현상을 "라이덴프로스트 효과"라고 하는데요,

이 현상은 어떤 액채의 끓는 점보다 훨씬 뜨거운 부분과 접촉할 경우

증기로 단열층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.

너무 빠르게 증발해서 팬과 물 사이에 층이 생겨버린 것이죠.

이 현상에 대한 재미난 실험들이 많으니

궁금하시다면 유튜브에 "라이덴프로스트"를 쳐보세요!!